유럽연합(EU)이 2025년 새해부터 대폭 강화하는 탄소배출 규제가 유럽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몰고 올 전망이다. CO₂ 배출 기준이 현행보다 약 19% 낮아지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완성차 제조사는 막대한 벌금을 피하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전기차 비중을 단기간 내 빠르게 끌어올려야 하는 업체들은 내연기관차 가격을 올리고 전기차 가격을 인하하는 이례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2025년 강화된 EU 탄소배출 규제
차세대 규제에 따라 EU 내 신차 평균 CO₂ 배출량 상한선은 내년 1월부터 93.6g/km로 설정된다. 현재 평균 전기차 비중이 13%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업계로서는 20% 이상의 비중을 달성해야 하는 까다로운 과제에 직면한 셈이다. 이에 유럽 제조사들은 내연기관 모델의 가격을 인상해 전기차가 상대적으로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역발상을 통해 전동화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의 규제에 대한 대응
폭스바겐은 ID.3 등 전기 모델 가격을 낮추는 한편, 푸조와 르노 등은 가솔린 모델 가격을 수백 유로씩 인상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전략을 ‘간접 보조금’ 구조로 해석하며, 내연기관차 구매자가 사실상 전기차 전환 비용을 분담하는 형국이라고 지적한다.
한편, 일부 기업들은 전기차 판매 비중이 높은 브랜드와 ‘배출가스 풀링(pooling)’ 협약을 맺어 평균 배출량을 낮추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스즈키가 볼보와 협력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임시방편은 시장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고 장기적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어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라는 평가다.
중국도 빨간불 들어왔다
여기에 중국 전기차 기업들의 시장 공세, 팬데믹 이후 전동화 전환 비용 증가 등 복합적인 압박 요인이 더해진 상황에서, 강화된 탄소 규제는 유럽 자동차 업계에 또 다른 숙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기차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여전히 EV 구매를 주저하는 가운데, 업계는 단기적 수익성 악화와 시장 혼란을 감수하면서도 친환경 전환에 박차를 가해야 하는 딜레마에 놓였다.
EU 탄소배출 규제로 앞으로 전망은?
결국 2025년을 기점으로 유럽 자동차 시장은 대대적인 재편 과정을 밟게 될 전망이다. 더욱 엄격해진 규제 속에서 단순한 가격 정책 이상의 혁신적 기술 개발과 생산 효율화, 그리고 소비자 인식 개선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유럽뿐만 아니라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이 전동화 시대에 적응하고, 궁극적으로 기후 변화 대응이라는 글로벌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