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100km 차이?” 안심하고 출발했다가 봉변당한다는 겨울철 전기차의 함정

김준식 기자

electirc car winter

한파가 만드는 ‘전기차 주행거리’의 함정

전기차 운전자들이 겨울마다 겪는 고민은 생각보다 현실적이다. 기온이 뚝 떨어지면 전기차 배터리 효율이 크게 감소하고, 난방을 위한 히터 사용으로 에너지 소모가 증가해 주행 거리는 더욱 짧아진다. 한국소비자원이 영하 1도 조건에서 국내 주요 전기차 모델을 시험한 결과, 테슬라 모델 3는 계기판 수치보다 120km 줄어들었고, 현대차 아이오닉 5는 35km, 기아 EV6는 22km 차이가 났다.

electirc car winter

전기차가 겨울에 약해지는 건 배터리의 구조적 특성과 무관치 않다. 배터리 내부 전해질은 온도가 낮을수록 점성이 높아져 충·방전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내연기관차는 엔진 폐열을 난방에 활용하지만, 전기차는 배터리 전력을 직접 소모해 히터를 돌려야 하는 구조적 한계도 크다. 이 때문에 겨울철 전기차 주행 거리는 상온 대비 최대 30%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LFP 배터리, 이번 겨울이 첫 ‘시험무대’

electirc car winter

최근 보급형 전기차 중심으로 장착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고온에는 안정적이지만 저온 환경에서는 효율 저하가 특히 두드러진다. 테슬라 모델 Y 후륜구동 모델과 기아 레이처럼 LFP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들은 이번 겨울이 사실상 첫 시험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겨울철 주행거리, 어떻게 늘릴까?

겨울철 전기차 운행에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우선 배터리를 춥지 않게 유지하기 위해 실내 주차장이나 실내 충전소를 활용하면, 극저온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율 저하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난방은 히터 대신 열선 시트나 열선 핸들처럼 전력 소모가 적은 대안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electirc car winter

급속 충전을 너무 자주 하면 배터리 셀 간 불균형이 커질 수 있으므로, 월 1회 정도는 완속 충전을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모터 폐열을 난방에 활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적용하면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주행 가능 거리를 어느 정도 보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주행 전 충전소 위치와 이동 경로를 미리 점검해두는 등 계획 운행을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나지 않는 도전, 해결책은 기술과 노하우

electirc car winter

겨울철 전기차 주행거리 감소 문제는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고 적절한 운행 습관과 기술적 대안을 병행한다면, 추운 날씨에도 충분한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기차의 매력은 친환경성과 정숙성, 경제성 등 다방면에서 인정받고 있는 만큼, 겨울철 한계 역시 기술 발전과 사용자 노하우를 통해 극복 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Leave a Comment